리액트는 가상DOM 방식을 사용해 화면에 있는 요소들을 제어한다.
직접 변수를 변경하는 것이 아닌 state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해야 변경된 사항을 적용할 수 있다.
상태 관리를 사용하는 이점으로는 변경사항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과 하나의 state의 값으로 하위 컴포넌트에 props로 전달하여 일관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다.
만약 input의 값을 지정하는 state처럼 다른 컴포넌트에서도 지역적으로 쓰일 수 있는 state일 경우 커스텀 훅 내에서 state를 선언하여 사용한다.
anstack-query를 통해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았을 때는 queryKey를 통해 데이터 관리한다.
'TIL > 기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useEffect의 실행 순서 (0) | 2024.03.30 |
---|---|
[TIL] 버츄얼 돔과 리얼 돔의 차이 (0) | 2024.03.28 |
[TIL] query, mutation (0) | 2024.03.08 |
[TIL] useState에서 typeScript (0) | 2024.03.07 |
[TIL] generic(제네릭) (0) | 2024.03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