배열엔 `toString` 메서드가 구현되어 있어
이를 호출하면 요소를 쉼표로 구분한 문자열이 반환된다.
`toString` 메서드는 배열에 있는 숫자, 문자열, 다른 종류의 값들을 쉼표로 이어붙여서 하나의 문자열로 만들어준다.
간단히 말하자면, 배열 안에 있는 것들을 쭉 나열한 문자열을 만들어준다고 생각하면 된다.
배열에 있는 모든 요소를 하나의 문자열로 합쳐서 반환해주는 역할을 한다.
let numbers = [1, 2, 3, 4, 5];
let result = numbers.toString();
console.log(result); //'1,2,3,4,5'
여기서 `toString`을 사용하면 배열 `[1, 2, 3, 4, 5]` 이 쭉 이어져서 '1, 2, 3, 4, 5' 라는 문자열이 만들어진다.
이 문자열은 배열 안에 있는 값들을 쉼표로 구분한 형태이다.
toString은 주로 어디에 사용될까?
- 배열을 문자열로 합치는 경우 :
배열 안에 있는 요소들을 하나의 문자열로 합쳐야 할 때 사용된다. 예를 들어, 특정 구분자로 요소들을 이어붙이는 경우에 유용하다.
let arr = [1, 2, 3, 4, 5];
let str = arr.join('-');
console.log(str); // 1-2-3-4-5
- 문자열 연산에서 사용하는 경우 :
다른 문자열과 합쳐져서 사용될 때도 있다.
let arr = [1, 2, 3, 4, 5];
let str = "Numbers: " + arr;
console.log(str); // Numbers: 1,2,3,4,5
- HTML 요소를 동적으로 생성 :
let fruits = ["apple", "banana", "orange"];
//HTML 요소를 동적으로 생성
let htmlString = '<ul><li>' + fruits.toString() + '</li></ul>';
console.log(htrmlString); //'<ul><li>apple,banana,orange</li></ul>'
배열 `fruits`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HTML list 요소를 동적으로 생성했다.
`toString`을 사용해 각 과일 이름을 쉼표로 구분한 문자열로 만들었다.
- 배열에 어떤 값이 들어있는지 확인하고자 할 때 :
let fruits = ["apple", "banana", "orange"];
//배열의 값을 확인하고 로그에 출력
console.log('Fruits in the array: ' + fruits.toString());
// Fruits in the array: apple,banana,orange
배열의 내용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.
'Javascript >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관계형 데이터베이스 VS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용 이유 기초 (0) | 2023.12.14 |
---|---|
[fetch] fetch 기본 예시 쉽게 풀어보기 (0) | 2023.12.13 |
[조건문] if문이란? (0) | 2023.11.29 |
[자료와 변수] - 자료형 (0) | 2023.11.28 |
배열의 마지막으로 데이터 추가하기 (0) | 2023.11.26 |